Tag Archive for: 금속관절뼈대

 

<UPDATE> ※ 특별 전시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Welcome to the »Dormitorium«)’ 일정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연기되었습니다. 2020년 5월 20일(수) – 6월 21일(일)

 

천재지변과도 같은 코로나19 사태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드디어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가 5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열립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기 위해 무관객 영화제로 진행되는 점은 아쉽지만, 그래도 온라인 상영으로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고 하네요.

올해 특별 기획전에 초청된 작가는 바로 퀘이 형제인데요. 형제의 작품 25편을 상영하는 스페셜 포커스는 추후 장기 상영회에서 공개된다고 합니다. 5월 15일부터 6월 21일까지는 전주 팔복예술공장에서 특별 전시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형제의 작품에 들어간 몽환적인 세트와 퍼펫을 관람할 수 있어 기대가 되네요. 그리고 퀘이형제의 신작<The Doll’s Breath (2019)>를 위해 제가 제작한 금속관절뼈대도 전시될 예정입니다.

Q. 애니메이션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이번 수업에서 스톱모션을 배우게 됐는데요. 관절뼈대를 사용해보면 어떨까요?

A. 스톱모션을 시작하려는 예비 애니메이터에게 관절뼈대(armature) 구입 및 사용에 관련된 문의를 받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제까지는 매번 개인적으로 답장을 해드렸는데요. 웹사이트를 통해 답변을 공유하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싶어 이렇게 FAQ를 시작해봅니다.

스톱모션 시작 단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금속관절뼈대에 큰 호기심을 갖게 됩니다. 저도 스톱모션 수업을 처음 들었을 때 가장 신기했던 부분 중 하나가 관절뼈대였죠. 당시는 지금과 달리 관절뼈대에 관한 정보가 전혀 공개되지 않던 시절이었습니다. 관절뼈대는 아드만이나 윌빈튼 같은 대형 스톱모션 제작사가 사용하는, 탁월한 애니메이팅의 비결처럼 여겨졌죠.

이런 이유로 한때 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관절뼈대만 있으면 순식간에 프로 수준의 스톱모션을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도 다 겪어본 과정인지라 문의하는 분들이 관절뼈대에 큰 관심을 보이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그렇지만 저는 배우는 시기에 관절뼈대를 사용하는 것에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째, 실력을 키우는 시기에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움직임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련된 말 같은 금속관절뼈대보다는 야생마 같은 알루미늄 철사 뼈대(이하 알사뼈대)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죠. 입문자들이 다양한 애니메이팅을 익히고 실험하려면 움직임의 한계 없이 원하는 방향대로 얼마든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알사뼈대가 더 좋거든요. 알루미늄 철사의 유연성을 이용해 하나의 동작을 만들어보며 애니메이팅의 스펙트럼을 넓혀갈 수 있죠.

반면, 금속관절뼈대는 사람의 몸과 마찬가지로 관절의 움직임 반경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습니다. 대신에 정제되고 다듬어진 움직임을 보여주죠. 그러나 마음껏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움직임을 탐구해본 이후에 금속관절뼈대를 사용해야만 그 진면목이 드러납니다. 애니메이터의 실력에 따라 결과물의 편차가 크니까요.

둘째, 알사뼈대를 만드는 과정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계획하고 연구하는 시간입니다. 스톱모션에서 뼈대는 단순히 퍼펫을 지탱하는 도구가 아니라, 퍼펫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도구죠. 알사뼈대를 직접 만들어보면 철사를 자르고 꼬아서 배치하는 과정을 거치며 관절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해 고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곧 퍼펫 전체의 움직임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시나리오상의 캐릭터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도 연결됩니다. 퍼펫과 뼈대를 만드는 작업을 통해 평면이 아닌 3차원에서 캐릭터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인 거죠.

이렇듯 알사뼈대를 사용해 다양한 움직임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근본적으로 고민해보는 경험은 스톱모션 초심자가 기본기를 다지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한번 몸으로 익힌 탄탄한 기본기는 탁월한 실력으로 이어지는 디딤돌이 되죠.

물론 금속관절뼈대의 장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초심자는 금속관절뼈대의 장점을 제대로 살려내기가 쉽지 않죠. 또한 금속관절뼈대가 다 비슷비슷해 보여도 꼼꼼히 살펴보면 그 품질이 굉장히 다양합니다. 금속관절뼈대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번 글에서 풀어보도록 할게요.

Last month I created armatures for Dunkin Donuts ads. The ad is finally launched today. Animation produced by Comma Studio, Korea.

스톱모션 광고 한 편이 올 연말 시즌광고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바로 던킨 도너츠 광고입니다. 귀여운 캐릭터의 아기자기한 움직임은 이 광고를 돋보이게 합니다. 그리고 디테일하고 심도가 느껴지는 세트와 소품은 여느 스튜디오 촬영과는 다른 스케일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번 광고는 스톱모션과 다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결과물의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이 멋진 광고의 스톱모션 제작은 <콤마 스튜디오>에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도 이 광고에 사용된 관절뼈대를 제작했습니다.

I first designed this hand armature part early in my career as an armature specialist. It has a simple design, yet has long been tested and has proved its value. This is why it’s my favorite part among other 30 hand armatures I’ve made so far. One of the studios I work with uses this item not only as a hand, but also as various parts such as a jaw, ear, wing, tail, and foot. It is rare to see that a single item has such wide usage.

위 사진에서 왼편에 있는 이미지는 Thinking Hand Studio의 페이스북 페이지 커버에 올려놓은 이미지의 일부분입니다. 그 오른쪽에 반원 형태로 모아놓은 부품은 그 이미지의 실물을 나란히 펼쳐놓은 것이죠. 이 부품 하나하나는 바로 퍼펫의 손에 해당합니다. 노란 황동 부분에 있는 네 개의 구멍에 와이어를 끼워서 왼편의 이미지처럼 완전한 손 형태를 만들 수 있지요.

그런데 이 손 뼈대용 부품은 제가 처음에 디자인한 의도와는 다르게 사용될 때도 많습니다. 뼈대에서 각 부품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지만, 이 손 뼈대용 부품의 경우에는 2mm도 채 안 되는 얇은 두께와 초소형 크기, 그리고 와이어 연결용 나사 구멍 덕분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가 거래하는 스튜디오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이템이죠. 제가 관절뼈대 작업을 시작한 초창기에 디자인한 손 뼈대 부품으로, 반복적인 검증과 현장 테스트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최종 버전이 나오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던 아이템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제가 더 애착을 가지고 있는 부품이기도 합니다.

이제까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손 뼈대를 만들어 왔습니다. 위 부품보다 더 작은 손부터 실제 인간 손과 동일한 크기로 손가락 관절 마디마디가 움직이는 손까지 30가지 이상의 손 뼈대를 만들어 보았죠. 그 중에서도 위 사진의 손 뼈대용 부품은 가장 큰 확장성을 가지고 있는 부품입니다.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아 퍼펫의 손을 작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도 보다 길게 연결할 수 있어 손의 움직임을 더 디테일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에서는 이 부품을 손 외에도 퍼펫의 여러 부위에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간형 퍼펫의 얼굴에서는 입을 움직이기 위한 턱으로, 소형 퍼펫에서는 작고 얇은 발로, 동물 퍼펫에서는 꼬리, 귀, 날개 등으로 사용되고 있지요. 와이어로 다양하게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래 용도 외에 무궁무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스튜디오에서 이 부품을 주문하는 수량이 많이 늘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가공시간이 많이 길어서 그리 반갑지만은 않다는 사실…ㅠㅠ)

위 사진의 부품들은 콤마 스튜디오의 새로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 <보토스>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 시리즈의 메인 캐릭터인 고양이와 개의 귀 뼈대 용도로 주문을 받았죠. Thinking Hand Studio와 오랫동안 협업해온 콤마 스튜디오의 귀여운 캐릭터 안에서 제 뼈대가 어떤 역할을 할지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I was recently involved in this stop-motion commercial project with custom joints for rigs. Robots weighing a lot more than 1kg each had to fly in this project. It was not that easy to make the joints that can withstand this weight because there were several restrictions in the rigging system.

얼마 전 쇼타임 스튜디오의 김준문 감독과 통화를 했습니다. 김준문 감독은 이번에 로봇 완구 광고를 찍어야 하는데, 무게가 무려 1kg가 넘는 로봇들이 나는 장면을 촬영해야 한다는 고민을 털어 놓았습니다. 어린이들에게 요즘 굉장한 인기를 얻고 있는 투바앤의 <다이노코어>에 등장하는 로봇 캐릭터 광고였죠.

여기에서 문제는 로봇의 무게였습니다. 기존 조인트로는 이 무게를 감당할 수 없으니 이번 촬영에 적합한 맞춤형 조인트를 제작해 달라는 이야기였죠. 사실 이런 경우 전체 리그*를 통째로 바꾸는 게 가장 확실한 해결책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전체 리그를 바꿀 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기존 리그와 호환이 될 수 있도록 8mm 볼을 사용하고 무게를 1.5kg 이상 견딜 수 있는 새로운 조인트를 만들었습니다.

커스텀으로 금속관절뼈대를 제작하는 저는 일상적으로 캐릭터의 특성에 맞게 뼈대를 조정합니다. 캐릭터의 움직임에 맞춰 특정 각도 내에서 조인트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죠. 리그에서 사용되는 조인트를 만들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리그용 조인트는 뼈대용 조인트에 비해 더 많은 하중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하죠.

이번 조인트 제작은 제게도 까다로운 과제였습니다. 이 맞춤형 조인트의 경우, 볼의 규격이 8mm로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리그용 조인트보다 훨씬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했습니다. 또한 애니메이팅을 위한 움직임도 고려해야 했습니다.

캐릭터가 날아다니는 동작을 애니메이팅해야 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볼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습니다. 이 때 리그가 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면 캐릭터가 나는 동작을 하다 한순간 추락합니다. 이렇게 비행 촬영을 하다 추락하는 경우, 스톱모션 작업에서는 100% 똑같은 캐릭터의 위치를 찾아서 촬영을 재개하는 게 불가능합니다. 그러면 애니메이터는 이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촬영해야 합니다. 애니메이터 입장에서는 아주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죠.

위 영상은 이렇게 만든 맞춤형 조인트를 사용한 작업물입니다. 로봇이 나는 동작을 한 번 감상해 보시죠. 멋진 영상을 제작하여 공유해 주신 쇼타임의 김준문 감독에게 감사드립니다.

*‘리그(rig)’를 한국 스톱모션 업계에서는 종종 ‘워커’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해외의 스톱모션 업계에서는 주로 리그로 통칭합니다.

This is a proof-of-concept prototype made in 2012 for a geared rig. It was for a friend studying at the 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ool (NFTS) in the UK. I always make a proof of concept before I start working on an actual product. Based on this prototype and the actual geared rig, I’ve recently built a new geared rig for a stop-motion studio working on a TV series at the moment. I’ll unveil the new version of this geared rig soon.

뼈대이건 워커이건 제가 디자인한 제품은 완성 전에 항상 프로토타입 단계를 거칩니다. 요즘에는 디지털 기술이 워낙 발전해 제가 디자인한 제품의 모습을 컴퓨터 모니터에서 캐드를 통해 미리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실물을 직접 손으로 만들어보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가 있습니다. 복합적인 움직임이 들어가는 제품의 경우에는 특히 더 그렇죠.

위 사진은 2012년에 만든 워커의 컨셉용 프로토타입입니다. ‘워커’란 스톱모션에서 캐릭터를 지지하고, 캐릭터가 걷고 뛰고 나는 액팅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해외에서는 워커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리그(rig)라는 명칭으로 불립니다.

이제까지 현장에서 써왔던 워커는 구조적으로 문제가 많았습니다. 워커의 만듦새가 굉장히 초보적이면서 허술했고, 정밀도나 가공 마무리 측면에서도 지적할 만한 결점이 수두룩했기 때문이죠. 사실 워커 자체는 그렇게 복잡한 메커니즘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막상 제작하려면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워커가 퍼펫의 하중을 꾸준히 견디면서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여러 스튜디오에서 제게 위와 같은 스타일의 워커 제작을 요청한 적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작하지 않은 이유는 아무래도 예산 문제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에 언급한 것처럼 기존 워커의 여러 가지 오류를 수정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이 구현되도록 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생각보다 많이 투입될 수밖에 없는데, 주문 수량도 그리 많지 않거든요.

이런 이유로 워커 주문을 받지 않고 있었는데, 2012년 영국 국립영화학교(NFTS)의 작품에 참여하면서 워커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NFTS는 지속적으로 거래해온 클라이언트이기도 했고, 또 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던 친구의 작품이라 참여 결정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작품의 워커를 제작하기로 한 가장 큰 이유는 당시 워커에 필요했던 기능 자체가 딱 정해져 있고 단순 명확했기 때문이죠. 위 사진은 그 때 만들었던 프로토타입입니다.

당시 만들었던 워커의 메커니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새로운 워커를 디자인해 제작했습니다. 애니메이터의 액팅을 잘 보조하여 보다 정교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이 새로운 워커는 몇 주 전부터 현장에 투입되어 애니메이터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의 2012년 버전 프로토타입이 2017년에 어떻게 탈바꿈했는지는 블로그를 통해 곧 공개하겠습니다.

작업을 위해 재가공하고 있는 기어를 모아놓고 보니 마치 컵케익같이 생겼더라구요. 그래서 한 컷. 이래저래 올 한해 너무 바쁜데 이런 여유라도 없으면 금방 지쳐버릴 듯합니다. 기어를 사용하는 워커 제작은 서로 간의 움직임과 힘의 크기를 잘 따져서 만들어야 합니다. 기어 워커는 항상 하는 일이 아니어서 말처럼 그리 쉽지 않더군요.

벌써 두 달째 작업 중인데 열 몇 개 밖에 못 만들었네요. 일은 더디고 다음 달 다른 스케줄은 잡혀있고, 공장은 작업량의 한계치를 이미 넘긴 상태입니다. 이번 워커 작업만 마무리하면 숨쉬기가 좀 나아지길 바라면서 작업대 위에 놓여 있는 기어 사진을 이쁘게 찍어봅니다.

 

I’ve made these tie downs for one stop-motion animation studio a couple years ago. The studio wanted to use wire armatures with small and thin feet. If you use these customized tie downs, there is no need to file down standard nuts. You can save your time and energy while getting your characters very small feet.

타이다운(Tie-down)이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촬영에서 인형을 세트 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식, 그리고 그 고정용 부품을 일컫는 말입니다. 위 사진은 알루미늄 철사(혹은 알사) 뼈대의 타이다운으로 사용되는 주문제작 너트입니다.

알사 뼈대를 제작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타이다운은 철물점에서 파는 기성품으로 나오는 규격 너트입니다. 그러나 규격 너트에는 알루미늄 철사를 감을 수 있는 측면 홈이 없기 때문에, 수작업을 통해 이 홈을 일일이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작은 캐릭터에 사용되어야 하는 소형 너트는 이 홈조차도 깊게 팔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규격 너트를 단단히 고정시키려면 에폭시 퍼티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캐릭터 발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단점에도 규격 너트는 가장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타이다운입니다.

위 부품 제작을 의뢰한 쇼타임 스튜디오는 금속관절뼈대를 주문할 수 없을 정도로 시간이 촉박한 스톱모션 광고 작업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특별한 움직임을 위한 관절 부분을 제외하고는 인형 뼈대의 대부분이 알루미늄 철사입니다.

쇼타임 측에서는 평소 인형 제작 시에 두 가지를 고민했다고 합니다. 바로 제작 속도와 인형 발의 크기였습니다. 인형의 다른 부분은 철사 굵기 조절로 얇게 만들 수 있지만, 발은 그게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작은 캐릭터의 경우에는 규격 너트를 사용한 탓에 몸집에 맞지 않는 큰 발을 가지게 되었죠. 또한 타이다운이 포함된 발을 제작하는 데에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습니다.

쇼타임은 고민하던 끝에 규격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제게 알사 뼈대용 타이다운 너트 제작을 의뢰했습니다. 쇼타임 같은 상업 스튜디오는 적은 수의 인력으로 다수의 스톱모션 광고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 대비 효율은 수익과 직결됩니다. 쇼타임 대표인 김준문 감독은 타이다운 너트 제작을 통해 작업 시간 단축과 인형 발의 크기 축소를 동시에 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타이다운용 주문제작 너트는 심플한 디자인이지만, 공개되자마자 전 세계 많은 업계 친구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쇼타임 스튜디오 또한 이 너트를 타이다운으로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김준문 감독은 알사 뼈대 제작 속도가 전에 비해 많이 빨라진 데다 평평하고 얇은 형태의 발을 만들 수 있어 캐릭터 디자인의 폭이 훨씬 더 넓어졌다고 말합니다.

단순한 디자인지만 기능에 충실한 커스텀 너트. 제가 만든 부품 중 가장 미니멀하게 보이지만, 그 효용만큼은 복잡한 부품들에 못지 않습니다.

Below is a finger of a tiny hand armature I made last year for one studio in the UK. I used H-shaped parts for this armature. This H-shaped part is the thinnest one I’ve ever made. Its edges are less than 1 mm thin.

지난 포스트에서 손톱 위에 놓인 H 모양의 작은 부품을 보여드린 적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그 부품을 조립한 사진입니다. 작년에 영국의 한 스튜디오의 의뢰로 작업한 작은 손 뼈대에 들어가는 손가락 부분이죠. 이 뼈대에서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는 1mm도 채 되지 않습니다.

대개 이렇게 작은 경첩관절은 얇은 금속판을 두 개 잘라 서로 단순하게 겹쳐지도록 만듭니다. 그렇지만 저는 부품끼리 정교하게 결합되도록 디자인을 한 다음, 엔드밀로 필요한 부품 하나하나의 형상을 가공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부품을 조립하면 위와 같은 사진의 뼈대가 나오는 겁니다.

2000년대 초는 한참 제 스타일의 뼈대를 테스트하던 시기였습니다. 솔직히 그 당시만 해도 이런 작은 사이즈는 엄두를 내지 못 했습니다. 작은 뼈대일수록 제작 난이도가 굉장히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한 번은 미국의 한 스튜디오에서 총 길이 10센티 정도의 관절뼈대를 주문받은 적이 있습니다. 한 달 정도 작업하다가 도저히 그 쪽에서 원하는 두께를 정확히 맞출 수 없어서 포기했었죠. 주문한 스튜디오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자존심도 많이 상해서 그 동안 작업한 뼈대를 전부 무료로 미국에 보냈습니다. 그리고 약 1년간 작고 얇은 뼈대만 테스트했었죠.

그때 이후로 꽤 오랜 시간이 흘렀습니다. 저는 위 사진을 볼 때마다 여러 가지 생각이 듭니다. 참으로 나도 이 업계에서 오래 버티고 있구나라는 생각, 그리고 더 이상 못 만들 뼈대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 등등 말이죠. ㅎㅎ

 

This summer I’ve visited the exhibition of Tadahito Mochinaga, one of the early pioneers of Japanese stop-motion animation. It was showing at the National Film Center in Tokyo.

작년 퀘이 형제 전시에서는 퀘이 형제가 직접 일본을 방문해 오프닝에 참석했습니다. 작가들이 직접 방문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하야마로 몰렸죠. 퀘이 형제와의 친분으로 여러 일본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느라 정작 전시에는 제대로 집중할 수가 없었습니다. 올해에는 퀘이 형제의 전시가 도쿄로 이관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번에는 꼼꼼이 그들의 전시를 챙겨보고 여름 휴가도 보낼 겸 해서 방문 시기를 조정했죠.

방문 일정이 확정되고 나서 온라인으로 찾아보니 마침 비슷한 시기에 도쿄에서 진행되는 괜찮은 전시가 여럿 있더군요. 그 중에 모치나가 타다히토 감독의 전시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일본 초창기 스톱모션을 대표하는 모치나가 감독은 한중일 3국에 모두 관련이 있는 특별한 이력 때문에 예전부터 제가 관심을 두고 있던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습니다.

Imagica TV에서 일하면서 일본의 유명 팝 칼럼니스트이기도 한 친구 야수시 상에게 우리의 휴가 일정을 이야기해주자, 그는 모치나가 전시회에 함께 가자고 제안했습니다. 유쾌한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사진 애호가인 기요시, 신중한 맏형 같은 야수시, 그리고 제 아내와 함께 든든하게 점심 식사를 한 뒤, 우리는 긴자 거리를 지나 도쿄근대미술관 산하 국립영상센터로 향했습니다. 야수시는 국립영상센터에서 그 곳의 총괄 큐레이터인 오카다 상을 제게 소개해 주었습니다.

전시에서는 모치나가 감독의 상세한 작업일지, 인형, 영상 자료, 제작 관련 서류 등 다양한 자료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1950년대에 그가 실제로 사용했던 관절뼈대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가족이 그의 자료를 잘 보관했던 모양입니다. 자료 보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했습니다. 큐레이터인 오카다 상은 직접 전시 가이드를 해주면서 일일이 자료에 담긴 이야기와 자료가 갖는 의미를 제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전시 규모는 작았지만 친절한 그의 설명 덕분에 기대 이상으로 알찬 전시 관람이 되었습니다.

Tag Archive for: 금속관절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