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 for: 관절뼈대

 

퀘이형제의 장편영화 ‘모래시계 표지판 아래 요양소(Sanatorium Under the Sign of the Hourglass)’가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다는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전주로 달려갔습니다. 퀘이형제가 보내 준 링크를 통해 영화 일부를 살짝 먼저 보기는 했지만, 모니터가 아닌 빅스크린으로 보고 싶었습니다.

영화제 개막을 코앞에 두고 전주에 내려갔더니 많은 영화들이 표가 벌써 매진되었더군요. 퀘이형제 작품도 마찬가지였습니다만, 저는 참여작가 찬스로 어찌어찌 겨우 구할 수 있었습니다. 첫 상영 당일 관람석을 꽉 채운 영화관의 모습은 놀라웠습니다. 퀘이형제의 영화는 내용이 난해해 관객의 호불호가 꽤나 강한 편으로 유명한데, 그럼에도 만석이라니 솔직히 예상 밖의 모습이었습니다. 몇 년 전, 퀘이형제의 일본 순회 전시 사인회에서 본 많은 인파의 모습과 오버랩이 되었죠. 마지막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고 나서 여러 생각에 한동안 가만히 앉아 있었습니다. 진행 측의 아쉬운 실수가 한두 가지 있긴 했지만, 역시 전주에 내려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주국제영화제 관계자 분들, 고맙습니다!) 영화관의 대형 스크린에서 관람하니 작은 모니터에서 놓쳤던 부분들이 세세히 눈에 들어왔고, 강렬한 음악도 인상적인 비주얼과 함께 온몸과 마음에 전해졌습니다.

장장 19년간 지속된 프로젝트. 금속관절뼈대 제작으로 이 작품에 참여했던 제게도 참으로 오랜 시간이었습니다. 퀘이형제와 메일을 주고 받을 때마다 대략 그간의 진행 상황을 들을 수 있었는데, 이 작품은 끝난 줄만 알고 있다 또 다른 뼈대 제작을 의뢰받는 등 영원히 계속될 것만 같은 이상한 프로젝트였습니다.

 

헐리우드의 거장,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만든 퀘이형제 다큐멘터리 ‘Quay’의 한 장면. 세 사람이 ‘Sanatorium Under the Sign of the Hourglass’의 메인 금속관절뼈대를 관찰하고 있다. 2020년 6월 예술의 전당에서 열렸던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展’에서도 같은 뼈대를 볼 수 있었다.

 

퀘이형제와 함께 작업한 기간은 제 커리어에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20년 넘게 그들이 사용하는 금속관절뼈대를 만들어 왔으니까요. 멕시코 영화학교에서 제가 만든 뼈대를 우연히 발견한 퀘이형제에게 연락을 받은 것도 기막힌 우연이지만, 우리 세 사람 모두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스톱모션 업계에서 살아남아 꾸준히 작업해 왔다는 것도 정말 믿기지 않는 일입니다.

퀘이형제의 작품에 참여한다는 것은 상업 프로젝트에 익숙한 저에게 항상 도전적인 과제라고 어느 인터뷰에서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들만의 독립적이고 독특한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은 속도와 효율을 선호하는 상업 프로젝트와는 여러 면에서 대치됩니다. 그래서 대형 상업 스튜디오의 프로젝트가 주된 일거리인 제가 퀘이형제와 함께 작업을 하려면 비교적 많은 시간을 고민해야 하죠. 그러나 작품에 참여하는 스텝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하는 퀘이형제의 스타일 덕분에 매번 작업에서 과감한 디자인의 뼈대가 탄생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제껏 미스테리하게 여겨왔던 퀘이형제의 세 번째 장편이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을 통해 20년 만에 드디어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영국, 독일, 폴란드의 합작 프로젝트인 이 작품에서 저는 공식 크레딧에 유일한 아시아인 스텝으로 이름을 올렸고, 제가 제작한 금속관절뼈대가 영화 안에서 원형 그대로 노출되어 등장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모래시계 표지판 아래 요양소’라는 이 영화는 제가 20년간 퀘이형제의 금속관절뼈대 제작자로 일하며 기울인 노력에 대한 선물처럼 느껴집니다.

퀘이형제의 신작 장편영화의 엔딩크레딧에 김우찬 감독의 이름이 있다.

모래시계 표지판 아래 요양소(Sanatorium Under the Sign of the Hourglass)의 엔딩 크레딧 중 일부.

 

작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작업한 스톱모션용 관절뼈대를 몇 가지 올려봅니다. 크기가 5cm인 초소형 뼈대부터 무려 60cm나 되는 대형 뼈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서도 서로 다른 크기의 관절뼈대를 만들었죠. 이렇게 뼈대의 사이즈가 바뀌면 조인트에 가해지는 하중과 압력도 달라집니다. 그래서 뼈대별로 들어가는 조인트도 캐릭터에 따라 각기 다르게 디자인했지요.

관절뼈대 작업을 시작했던 초창기에는 몇 가지 공통된 부품만을 사용해 뼈대를 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그 치기 어린 생각이 산산조각 나기까지는 몇 개월도 채 걸리지 않았는데요. 그럼에도 당시엔 뼈대 한 세트를 만들기 위해 거의 매번 새로운 부품을 가공해야 할 거라고는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이렇게까지 작업량이 많아질 줄은 몰랐던 거죠.

24년이라는 경력을 갖춘 지금은 뼈대 작업의 속도가 훨씬 빨라졌습니다. 다만 스톱모션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기계 가공의 한계를 시험하는 창의적인 캐릭터를 작업해야 할 때도 있는데요. 그럴 때면 저 또한 고민을 거듭하며 애니메이팅 가능한 뼈대를 만들기 위해 상상력을 한껏 발휘해야 하죠. 작업의 난이도는 시간이 갈수록 이렇게 높아져만 가고, 제가 새벽에 출근하는 날도 점점 늘어가고 있답니다

 

‘쿠키런: 마녀의 성’ 광고는 근래 보기 드물게 잘 만든 스톱모션입니다. 캐릭터 디자인뿐 아니라 기술적으로 자연스럽게 무게감이 느껴지는 애니메이팅도 탁월하죠. 또한 대형화된 캐릭터와 세트를 통해서만 가능한 표현을 볼 수 있는데요. 그건 바로 조명과 그림자를 통해 표현된 디테일한 비주얼과 화면 가득 느껴지는 공간감입니다. 이번 광고를 위해 제가 제작한 마녀 관절뼈대의 크기만 해도 60cm에 달합니다. 일반적인 관절뼈대의 크기가 대개 18cm 정도이니 마녀 캐릭터가 얼마나 큰지 아시겠죠.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구성 요소를 대형화하면 애니메이션의 퀄리티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세심한 표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비주얼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심도를 더해줄 수 있어 화면에 공간감을 부여해 줍니다. 그러나 대형화하는 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인건비와 제작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제작 비용도 늘어나게 되죠. 게다가 일정 크기 이상의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소규모 스튜디오가 대부분인 우리나라의 스톱모션 제작 환경에서는 캐릭터와 세트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형화는 제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분명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디테일한 표현에서는 좀 불리한 것도 사실이죠. 그래서 장편 스톱모션을 많이 제작하는 영미권에서는 큰 규모의 캐릭터와 세트를 사용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에 모처럼 한국에서도 초대형 세트와 캐릭터를 가지고 만든 고퀄리티의 스톱모션 광고를 보게 되어 반갑네요.

 

프로젝트 : 분 단위 초신선 장보기, 배민B마트⚡️(본편)

광고주 : 우아한형제들

대행사 : HSAD

프로덕션 : 엘리먼트픽쳐스, 플랜잇

Stop-motion animation 제작 : (주) Comma Studio

 

김진만 감독을 필두로 한 후무후무스튜디오에서 <먼지요정 후와 무>라는 제목의 신작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지난해부터 유튜브에 공개 중입니다. 이 시리즈는 202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차세대 플랫폼 애니메이션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된 작품입니다.

<먼지요정 후와 무>는 기본적으로 퍼펫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입니다. 하지만 퍼펫 캐릭터 외에도 실제 사람과 동물까지 등장시키며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 실사 촬영을 결합하는 과감한 시도를 했죠. 이렇게 스톱모션의 태생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실험 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여기에 천지영 공동감독이 참신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작한 귀여운 캐릭터와 동화적인 스토리 전개, 화면을 가득 채운 아기자기한 소품들에 김진만 감독의 디테일한 애니메이팅까지. 이 시리즈에는 연령을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할 만한 레트로 감성의 따스함과 포근함이 가득합니다.

대형 스톱모션 스튜디오에서조차 만만히 여길 수 없는 시리즈물을 독립 스튜디오에서 제작한다는 건 굉장히 힘든 일일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후무후무스튜디오는 한 달에 한 편씩 약 4~5분 분량의 에피소드를 유튜브에 꾸준히 공개하고 있습니다. 시리즈가 마무리되기까지 고된 작업이 되겠지만 후무후무스튜디오의 노력에 응원을 보냅니다.

<먼지요정 후와 무>는 제가 김진만 감독과 함께한 세 번째 작품입니다. 이번 캐릭터에 사용된 금속관절뼈대의 크기는 6센치 밖에 되지 않습니다.

Youtube Channel link

스톱모션 제작 : 콤마스튜디오

 

2021년 한 해를 정리하면서 마지막으로 참여한 ‘배달의 민족’ 광고입니다. 스톱모션 제작은 콤마스튜디오에서 담당했습니다. 이번 광고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이 정말 멋지죠. 소품과 세트, 애니메이팅 어느 하나 빠짐없이 탁월한 실력이 유감없이 발휘되었습니다. 역시 한국을 대표하는 스톱모션 스튜디오답네요.

  • Client 광고주: 우아한 형제들 (Woowa Brothers)
  • Agency 대행사: HS애드 (HS Ad)
  • Production 프로덕션: (주)애딕트미디어필름 (Addict Media Films)
  • Stopmotion & Characters 스톱모션 및 캐릭터 제작: (주)콤마스튜디오 (Comma Studio)

 

 

 

 

The last project I worked on in 2020. A commercial for McDonald’s Korea.

2020년을 마무리할 무렵 런칭된 새로운 맥도날드 광고입니다. 스톱모션 광고이지만, 자연스러운 애니메이팅 및 부드러운 화면 톤과 같은 고퀄 영상을 자랑하는 터라 또 한 번의 CG 논란(?!)이 예상되고 있죠. 저는 이번에도 퍼펫에 들어가는 금속관절뼈대 제작으로 광고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스톱모션은 한국의 대표적인 스톱모션 제작사인 콤마스튜디오에서 작업을 담당했습니다. 이 광고에서 재미난 사실은 화면에 등장하는 참신한 캐릭터들이 콤마에서 기획 및 제작 중인 신작 <단비와 깨비>의 주인공들이란 점입니다. 아직 시작 단계이지만 벌써 업계 전문가들이 이 신작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죠.

콤마스튜디오는 2020년 한 해만 해도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프롤로그를 필두로 신협 어부바, 한율 달빛유자, 배달의 민족, 메이플 스토리 등 다양한 브랜드의 광고를 통해 난이도가 매우 높은 스톱모션 영상 작업을 담당한 바 있습니다. 또한 자체 프로젝트로 TV 시리즈 <보토스 패밀리 2>를 제작했고 유튜브에서 <꾸앤까>를 비롯한 몇 개의 채널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콤마스튜디오의 이런 다양한 이력에서 끊임없이 기술적 실험을 시도하고 엄청난 작업량을 소화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역시 대한민국 스톱모션 업계를 굳건히 지키는 최고의 커머셜 스톱모션 스튜디오답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새해에도 콤마스튜디오가 어떤 작품들을 보여줄지 기대가 되네요.

 

<UPDATE> ※ 특별 전시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Welcome to the »Dormitorium«)’ 일정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연기되었습니다. 2020년 5월 20일(수) – 6월 21일(일)

 

천재지변과도 같은 코로나19 사태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드디어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가 5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열립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에 동참하기 위해 무관객 영화제로 진행되는 점은 아쉽지만, 그래도 온라인 상영으로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고 하네요.

올해 특별 기획전에 초청된 작가는 바로 퀘이 형제인데요. 형제의 작품 25편을 상영하는 스페셜 포커스는 추후 장기 상영회에서 공개된다고 합니다. 5월 15일부터 6월 21일까지는 전주 팔복예술공장에서 특별 전시 ‘퀘이 형제: 도미토리움으로의 초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형제의 작품에 들어간 몽환적인 세트와 퍼펫을 관람할 수 있어 기대가 되네요. 그리고 퀘이형제의 신작<The Doll’s Breath (2019)>를 위해 제가 제작한 금속관절뼈대도 전시될 예정입니다.

Tag Archive for: 관절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