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the final version of my armature created last year for “Dancing Frog”, a Korean stop-motion short by Jinman Kim. Director Kim is currently making another animated short titled “A Cursed Boy” this year. I completed making a new armature yesterday for this whole new film. I’m going to share this thin, tiny armature work once the film gets released later this year.

김진만 감독의 새로운 단편 <저주 소년(가칭)>에 사용될 관절뼈대 작업을 이제 막 끝냈습니다. 김 감독은 한국 독립 스톱모션을 대표하는 작가로, 대표작인 <소이연과 <오목어>로 국내외 유명 영화제에서 수상한 바 있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멋진 작품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위 사진은 지난해 공개된 김 감독의 <춤추는 개구리>에 들어간 관절뼈대의 최종 버전입니다.

작은 뼈대에 들어갈 볼 만들기 #관절뼈대#스톱모션애니메이션#뼈대부품#휴가가필요해#stopmotion#armature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Thinking Hand Studio(@thinking.hand)님의 공유 게시물

 

영국 스튜디오에서 의뢰받은 얼굴 움직임을 위한 부분 뼈대 사진입니다.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중 두 번째 버전이구요. 보통 제작 과정은 미완성 상태라 거의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타인에게 제 고민의 흔적을 보여주는 것이 익숙지 않아서 말이죠.

모든 최종본은 프로토타입 단계를 거치고, 다시 기계적인 해석을 통해 마무리합니다. 사진에서 보다시피 완성본의 깔끔함과는 다르게 그 이면의 과정은 거칠고 투박합니다. 위 사진의 버전 이후 다섯 가지 프로토타입을 더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수공과 기공을 사용해 힘들게 여러 가지 테스트 버전을 만드는 이유가 있습니다. 스톱모션 뼈대 제작에 있어 이 과정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움직임의 특성에 맞게 기술적인 해석을 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김우찬 감독의 작업 손과 힙부품

위의 사진은 김진만 감독의 신작 단편 <춤추는 개구리 Dancing Frog>에서 주인공 뼈대에 들어가는 힙 부분입니다.

작업하다 보면 가끔 악에 받쳐 완성할 때까지 부품과 씨름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힙 부분을 만들 때도 정말 진이 빠졌죠. 차라리 좀 더 작은 크기의 볼로 이걸 만들었으면 더 수월했을 테지만, 몇 가지 이유로 사진에 보이는 크기의 볼을 사용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김 감독의 작품을 보니 이런 고생을 한 것도 정말 보람이 있더군요. 이 작품에서 뼈대 제작자의 의도를 뛰어넘는 감독의 애니메이팅 실력에 깜짝 놀랐죠. 실력을 발휘한 김진만 감독님 고생하셨습니다!👏👏

2016년 초봄, 두 가지 다른 버전의 손 관절뼈대를 만들었습니다. 실험적인 스톱모션으로 유명한 퀘이형제 작품에 들어가는 30cm 정도의 휴머노이드 뼈대에 장착될 손이었죠. 위의 이미지는 여러 테스트를 끝내고 마무리될 즈음에 기록으로 남긴 것입니다.

사진 속 연필과 손 관절뼈대와 비교해 보면 대충의 사이즈를 가늠할 수 있을 겁니다. 30cm 키를 가진 관절뼈대에 적당한 비율의 손인지라,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두께도 1mm도 채 안 되는 부분이 있을 정도로 얇습니다.

뼈대를 제작하다 보면 기계로 가공할 수 있는 한계치에 근접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 속의 손 관절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게다가 이번 작업은 손의 입체적이고 정교한 움직임을 아주 작은 공간에 집약시키는 게 관건이어서 좀 애를 먹었습니다.

20년 가까이 뼈대를 만들다 보니 퀘이형제를 위한 손 관절뼈대처럼 기억에 남는 뼈대가 꽤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번 작업은 복제본을 만들었지만,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주문한 수량에 맞춰 제작한 관절뼈대 최종본은 바로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실제로 사용됩니다. 스톱모션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초반에 뼈대가 완성되어야 다른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뼈대 작업은 언제나 촉박한 스케줄에 쫓기는 편입니다. 그런데다 제작 시간도 많이 드는 터라 여벌의 복제본을 만들기란 여간 힘든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100편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제가 현재 소장하고 있는 뼈대 복제본의 수는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경력상 큰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의 뼈대 중 일부만 복제본을 만들어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주변 지인들이 제게 전시회를 하면 어떨까 하는 제안을 할 때마다 곤혹스러운 마음이 먼저 들었죠. 전시에 필요한 작품 수를 채우기 위해 다시 복제본을 제작할 생각을 하니 너무 막막했거든요.

몇 달 전 지인에게 전시회 얘기를 또 들었습니다. 무관심했던 이전과는 달리 그 가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았죠. 이제 반백이 넘은 나이가 되면서 제가 이제껏 해 온 작업들을 한번은 정리해 보고 싶다는 욕심이 조금씩 생기기 시작하나 봅니다.

초창기 우찬 모듈 뼈대의 디테일 뷰입니다.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거장 아트 크록키의 프로젝트를 비롯해

많은 해외 작업에 사용된 관절뼈대 형태입니다.

위의 이미지는 워커를 위해 만든 부품 사진입니다.  몇 주간 계속하고 있는 작업이기도 하지만 최근에 금속가공에 관한 말도 안 되는 소리를 들어서 겸사겸사 이 이미지를 올립니다. 카운트보링은 볼트의 머리가 가공면 위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홈을 파는 작업을 말합니다.

위 사진의 부품에 보이는 둥근 홈을 파는 가공을 일컫는 기술적인 용어입니다. 해외 어떤 분이 이걸 무슨 대단한 기술처럼 말하더군요. 이 기술이 마치 뼈대의 고급 기종과 저급 기종을 나누는 것처럼 말이죠ㅎㅎ. 정말 말도 안 되는 생각입니다. 카운터 보링은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단순 테크닉입니다.

예전 한 스튜디오에서 만들었던 몇천 원짜리 청계천표 조인트에도 카운트 보링이 나 있습니다. 그게 그리 고급스러운 기술이라면 그 조인트가 볼을 다 갉아 먹고, 압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 단순히 어떤 기술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좋은 뼈대와 나쁜 뼈대를 구분 짓지는 않습니다. 사실 이런 구닥다리 선입견은 우리나라에도 있었습니다. 한 20년 전에 말이죠.

카운트 보링은 단순 테크닉인지라 필요할 때 사용하면 됩니다. 인형을 만들다 보면 특정 재질로 인형을 만들거나 피부를 얇게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러면 카운트 보링으로 조인트 면의 높이와 볼트 대가리의 높이를 비슷하게 맞추면 인형제작과 내구성에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뼈대 조인트에 카운트 보링을 넣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 사용하는 뼈대일 경우에는 말이죠. 이것은 저의 경험치이기도 하지만 작업장의 다른 엔지니어들의 공통적인 의견이기도 합니다. 이유는 기회가 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김우찬 감독의 관절뼈대 Armature Wuchan KIm

I found that some armatures sold these days are almost identical to my early armature designs. So much so that I thought those armatures were mine at first. My armatures with these early designs sold well worldwide from 2001 to 2003. Yet, I have been using different designs with a lot of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since then. Still, I’m proud of my early designs.

위 사진의 뼈대 디자인은 17년 전 2001년에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보면 아쉬운 부분들이 보이지만 저에겐 아주 자랑스러운 뼈대입니다. 첫 공식 판매 버전이고 미국과 유럽에서 꽤나 인기가 있어던 관절뼈대 디자인입니다. 지난 포스트로도 말씀드렸지만, 이 버전들은 제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시도했던 양산 뼈대 제작을 위한 실험이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서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우찬 모듈>이라고 불리는 뼈대 제작 방식이 탄생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심심찮게 온라인으로 이와 유사한 스타일을 가진 뼈대를 볼 수 있습니다. 닮았다고 하기에는 너무 메커니즘이 같아 처음엔 제가 만든 건지 착각했습니다. 먼저 말씀드리지만 그런 제품들을 비난하고, 누가 먼저니 시시비비를 가리기 위해 이 포스트를 쓰는 것은 아닙니다. 어짜피 사람 머리에서 나오는 생각이란 것이 비슷비슷하니깐요. 오래전에 커스텀 제작자로 변신하면서 이때 디자인된 똑같은 모듈 부품은 만들지 않습니다. 현재는 디자인된 부품이 가진 몇 가지 약점을 개선해 전통적인 뼈대제작 방식과 결합했습니다. 양산보다는 수공을 더 강화했습니다. 그래서 기계의 가공 한계치를 넘어선 다양한 종류의 뼈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굳이 사용상 한계가 있는 범용 뼈대를 만들 계획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디자인과 메커니즘의 비슷함에 별로 개의치 않습니다. 단지 제가 걱정하는 것은 우리의 생각입니다. 현장에는 유럽이나 미국의 스톱모션이 우리보다 선진적이라는 선입견을 품은 분들이 꽤 있습니다. 물론 우리보다 나은 부분이 분명히 있습니다만 우리가 가진 자원이 훨씬 훌륭한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 편견 때문에 시간이 지나 제 작업이 잊힐까 솔직히 걱정됩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제가 만들었다는 사실이 제가 카피했다는 식으로 전달 될 수 있다는 우려스러움에 이렇게 기록으로 남깁니다.

우찬 모듈에 관련된 에피소드가 많아 포스트를 꾸준히 연재할 생각입니다.

김우찬 감독의 관절뼈대 Armature Wuchan KIm

기아 자동차 광고에 사용되었던 실물 사이즈 손 관절뼈대입니다. 이전 포스트로 잠깐 보여 드렸었죠. 이번엔 테스트 버전과 최종 버전을 공개합니다. 이번 뼈대는 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엄밀히 이야기하면, 사람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든 휴머노이드 관절입니다. 

광고를 보면 아시겠지만 캐릭터가 손과 사람으로 번갈아 변신하며 여러 가지 액션을 합니다. 그래서 사진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검지와 중지의 끝단 볼에는 나사산이 나 있습니다. 검지와 중지를 발처럼 세트 바닥에 고정한 다음, 인형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eYCxQnF2UGo

또 다른 특이점은 이 뼈대의 일부 볼 조인트가 힌지 조인트처럼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실제 인간의 손가락은 한 방향으로만 움직입니다. 그래서 스톱모션용 손 뼈대는 일반적으로 동작이 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힌지 조인트 방식으로 제작합니다.

하지만 이 기아 자동차 광고에 사용된 뼈대는 움직임의 방향이 비교적 자유로운 볼과 소켓 방식입니다. 이 뼈대가 손의 역할도 하지만 사람 캐릭터로도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손의 역할도 해야 하기 때문에 볼 조인트여도 힌지 조인트의 특성을 최대한 가질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김우찬 감독이 제작한 실제 손크기의 뼈대 Armature by Wuchan Kim, Thinking hand Studio

뼈대 제작 난이도가 좀 높은데도 주문 일정이 좀 빡빡했습니다. 지금 보니 한두 가지 디자인을 수정했으면 더 나았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뼈대를 의뢰한 콤마스튜디오는 멋진 스톱모션을 만들었습니다. 

2000년대 초 작업한 뼈대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진지함이 미소짓게 하지만, 좋은 관절뼈대를 만들겠다는 사명감이 가득가득 차 있던 시기였죠. 이 버전은 양산형 뼈대에 대한 처음이자 마지막 시도였습니다. 이후에 풀 커스텀 제작자로 변신했죠.

이 당시 버전은 생산된 지 16년이 지났지만 관절뼈대의 높은 정밀도와 완성도로 업계관계자들의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아직도 영미권의 프로페셔널 친구들이 소장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미국의 포틀랜드에서 먼저 판매되기 시작했고, 짧은 시간에 입소문으로 20개국 이상에서 의뢰문의가 올 정도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저에겐 여러 가지 추억과 에피소드를 가진 최애 작업물이기도 합니다.

이 디자인 버전의 뼈대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거장, 아트 클로키(Art Clokey) 감독의 ‘Davey and Goliath’s Snowboarding Christmas’의 사람형 관절뼈대로 사용되었고, 엔드 크레딧으로 공식적인 참여 기록을 남겼습니다 (우측 사진은 실제 사용된 관절뼈대 중 하나).